Skip to Main Content

North Korea Collection of Korean Social Science Studies (조선사회과학학술집)

Archaeology (고고학)

1. 고려개관 / 5 

2. 건축 / 10 
1) 궁전건축과 도시건축 / 10 
2) 살림집건축 / 54 
3) 절건축 / 60 
4) 석조물 / 93 

3. 성곽 / 120 
1) 성곽의 분포와 유형 / 120 
2) 성방어체계와 특성 / 151 

4. 무덤 / 162 
1) 무덤의 류형과 구조 / 162 
2) 무덤벽화 / 189 
3) 무덤의 변천과 연원 / 195 

5. 자기가마터 / 206 

맺는말 / 216 

제1장. 세나라시기의 불상 / 6 
제1절. 세나라시기 불상발생의 사회력사적환경 / 6 
제2절. 세나라시기 불상의 종류와 형태 / 10 
제3절. 세나라시기 불상의 제작년대와 변천 / 63 
제4절. 세나라시기 불상의 공통성과 특징 / 94 

제2장.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의 불상 / 105 
제1절.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불상제작의 사회력사적환경 / 105 
제2절.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불상의 종류와 형태 / 107 
제3절.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불사의 제작년대와 변천 / 154 
제4절.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불상의 공통성과 특징 / 175 

제3장. 고려시기의 불상 / 184 
제1절. 고려시기 불상제작의 사회력사적환경 / 184 
제2절. 고려시기 불상의 종류와 형태 / 186 
제3절. 고려시기 불상의 제작년대와 변천 / 224 
제4절. 고려시기 불상의 특징 / 241 

제4장. 리조시기의 불상 / 244 
제1절. 리조시기 불상제작의 사회력사적환경 / 244 
제2절. 리조시기 불상의 종류와 형태 / 247 
제3절. 리조시기 불상의 제작년대와 변천 / 280 
제4절. 리조시기 불상의 특징 / 300 

제5장. 우리 나라 불상이 차지하는 문화사적지위 / 302 
제1절. 우리 나라 불상의 고유한 특징 / 302 
제2절. 우리 나라 불상이 일본의 불상 발생발전에 준 영향 / 317 

맺는말 / 327 

제1장. 인간의 사유 및 로동기능 / 6 
제1절. 주체사상에 의해 밝혀진 사람의 특유한 기능 / 6 
제2절. 사유기능을 담당수행하는 인간뇌수의 특성 / 17 
제3절. 로동기능을 담당수행하는 육체기관 / 36 

제2장. 인간전 단계에 이른 류인원의 진화상 특성 / 46 
제1절. 령장류에서 대뇌피질과 그 주름의 발달 / 46 
제2절. 이동방식의 변화, 직립보행의 발생 / 49 
제3절. 반사활동의 발전 / 57 
제4절. 류인원의 <<도구활동>> / 63 

제3장. 원인단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사유 및 로동기능의 특성 / 74 
제1절. 류인원으로부터 사람에로의 이행, 여인간의 고유한 체질구조의 형성 / 74 
제2절. 사유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한 첫 인간의 뇌수 / 82 
제3절. 원인들의 사유기능수행능력 / 97 
제4절. 로동도구를 통하여 본 원인들의 로동기능의 수행능력 / 114 

제4장. 고인단계에서 이루어진 사유 및 로동기능의 특성 / 124 
제1절. 새롭게 분화된 고인의 뇌수 / 124 
제2절. 사유기능의 형성정도를 보여주는 고인들의 사유의식활동능력 / 136 
제3절. 고인단계에 형성된 로동기능의 생리적기초 / 149 
제4절. 로동기능의 형성정도를 보여주는 고인들의 로동활동능력 / 164 

제5장. 신인단계에서 완성된 사유 및 로동기능의 특성 / 170 
제1절. 사유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게 분화된 신인의 뇌수 / 170 
제2절. 로동도구와 생산활동에 반영된 신인들의 사유기능수행능력 / 180 
제3절. 로동도구에 반영된 신인들의 로동기능수행능력 / 192 
 

[ 제1편. 동명왕릉 / 6 ] 
제1장. 동명왕릉과 그 일대의 고구려무덤 / 6 
제1절. 동명왕릉성격에 대한 새로운 해명 / 6 
제2절. 동명왕릉 장지의 자연지리적 조건과 무덤분포 / 14 
제3절. 동명왕릉의 원상태 / 18 
제4절. 동명왕릉일대 고구려무덤의 류형분류 / 26 
제5절. 동명왕릉과 그 일대 고구려무덤??변천과 편년 / 38 

제2장. 동명왕릉의 복원 / 50 
제1절. 동명왕릉의 외형복원 / 50 
제2절. 동명왕릉의 내부복원 / 57 

제3장. 개건된 동명왕릉 / 65 
제1절. 왕릉과 돌조각상 / 65 
제2절. 제당과 릉문 / 73 
제3절. 비석과 비문 / 76 

[ 제2편. 정릉사 / 90 ] 
제1장. 정릉사지와 출토유물 / 90 
제1절. 정릉사건축지의 구조와 그 특징 / 90 
제2절. 정릉사지와 우물에서 나온 유물 / 109 
제3절. 정릉사건축의 년대와 그 사명 / 128 

제2장. 정릉사의 복원 / 137 
제1절. 정릉사건축에 쓰인 자의 복원 / 137 
제2절. 정릉사의 평면복원 / 143 
제3절. 정릉사의 원상복원 / 160 
제4절. 정릉사우무의 복원 / 173 

제3장. 복구된 정릉사 / 177 
제1절. 금당건물들과 탑 / 178 
제2절. 중문과 회랑 / 181

1. 유적의 지리적위치와 발굴경위 / 6 

2. 새로 발견되 인류화석 - <<화대사람>> / 9 
1) <<화대사람>>의 인류학적특징 / 9 
2) <<화대사람>>의 분류학적위치 / 43 

3. 화석의 년대 / 80 
1) 화대군 석성리분출암의 암석자기적년대 / 80 
2) <<화대사람>>유적의 열형광년대 / 90 

4. 유적형성당시의 옛 기후, 옛 지형 / 99 
1) 인류화석 묻힌 길주남대천하류지구 분출암의 지질학적특징 / 99 
2) 포분자료에 기초하여 본 유적일대의 옛 자연환경 / 113 
3) <<화대사람>>의 화석층에서 새로 찾은 식물화석과 지질시대 / 127 
4) <<화대사람>>의 인류화석이 발견된 지역에서의 화산활동과 지형상특성 / 136 

제1장. 진국문화형성의 력사적 전제 / 4 

제2장. 진국의 유적유물 / 37 
제1절. 시기구분 / 37 
제2절. 유적유물 / 49 

제3장. 진국문화의 형성과 발전 / 125 
제1절. 진국문화의 형성 / 125 
제2절. 진국문화의 발전 / 145 

제4장. 진국문화형성발전의 특징 / 162 
제1절. 형성기 진국문화의 특징 / 162 
제2절. 고조선문화와의 관계 / 176 

제5장. 진국의 사회경제관계 / 198 
제1절. 생산활동 / 198 
제2절. 사회관계 / 216

1. 고려왕릉에 대한 일반적리해 / 6 
1) 고려왕릉의 연구실태와 분포정형 / 6 
2) 고려왕릉의 일반적구조 / 19 

2. 고려왕릉의 류형과 변천 / 33 
1) 고려왕릉의 류형 / 33 
2) 고려왕릉의 변천 / 93 

3. 고려왕릉의 축조년대와 피장자문제 / 107 
1) 고려왕릉의 축조년대 / 107 
2) 고려왕릉의 피장자문제 / 115 

4. 고려왕릉의 문화사적지위 / 125 
1) 고려왕릉의 연원 / 125 
2) 고려왕릉의 특징 / 135 
3) 고려왕릉의 문화사적지위 / 142 

부록 / 149

우리 나라 원시시대 짐승사냥과 짐승기르기 / 4 

제1장. 우리 나라 원시시대의 포유동물 / 5 
제2장. 우리 나라 원시시대의 짐승사냥 / 28 
제3장. 우리 나라 원시시대의 집짐승기르기 / 68 


조선중세 건축유적연구 / 92 

제1장. 고구려의 건축유적 / 94 
제2장. 백제의 건축유적 / 208 
제3장. 신라의 건축유적 / 255 
제4장. 삼국시기 건축의 원류 / 285 
 

원시사회의 발생발전에 관한 연구 / 6 

제1장. 인류사회의 발생문제를 밝히는데서 나서는 방법론적기초 / 8 
제2장. 원시사회의 주인-사람의 발생, 화석인류의 진화 / 49 
제3장. 사회적재부를 창조하기 위한 화석인류의 생산활동 / 127 
제4장. 사회적관계의 형성, 씨족의 발생 / 170 


삼국시기 장식무늬에 대한 연구 / 202 

제1장. 삼국시기 장식무늬발전에 대한 일반적고찰 / 204 
제2장. 삼국시기 장식무늬의 다양한 발전 / 217 
제3장. 삼국시기 주요 장식무늬의 상징적내용과 조형적형식 / 256 
제4장. 삼국시기 장식무늬의 의의 / 311 


조선공예가 일본공예발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죠몽-에도시기초기) / 356 

제1장. 일본공예발전의 사회력사적전제 / 358 
제2장. 도자공예 / 373 
제3장. 일본금속공예 / 422 
제4장. 기타공예 / 462

조선의 신석기시대/4

 1. 신석기시대문화의 특성과 시기구분/5
  1) 신석기시대의 일반적개념/5
  2) 조선의 신석기시대문화의 특징/8
  3)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15

 2. 신석기시대의 유적유물/21
  1) 신석기시대 전기의 유적유물/21
  2) 신석기시대 중기의 유적유물/33
  3) 신석기시대 후기의 유적유물/47

 3. 신석기시대의 생산의 발전/77
  1) 원시농업/78
  2) 집짐승기르기/90
  3) 물고기잡이/92
  4) 짐승사냥/103
  5) 원시적수공어생산/112
  6) 집짓기/119

 4. 신석기시대의 생활풍습과 사회관계의 변화/136
  1) 생활풍습/136
  2) 사회관계의 변화/141

우리 나라 고대 및 중세요업기술발전사연구/152

 제1장. 우리 선조들의 요업지식의 기초/154
  제1절. 요업기술의 시초-불의 발견/155
  제2절. 토기제작기술의 발명/158

 제2장. B.C. 30세기~A.D. 9세기 요업지식과 기술의 발전/167
  제1절. 도기에로의 발전의 기술적기초/169
  제2절. 도기제작기술의 발전/171
  제3절. 회유약의 발명과 그 리용/175
  제4절. 건축용재-기와, 벽돌, 유리제작기술/178

 제3장. 10~14세기 요업기술의 발전/184
  제1절. 도자기제조기술의 가일층 발전/184
  제2절. 고려자기유약제조기술/193
  제3절. 고려자기가마터/199
  제4절. 기와와 벽돌, 유리제품생산의 발전/204

 제4장. 15~19세기 초엽의 요업기술의 발전/207
  제1절. 자기제작기술/208
  제2절. 리조시기 유약제조법/213
  제3절. 우리 나라 장공인들에 의한 일본자기의 발전/218

중세 우리 나라 읍성에 대한 연구/223

 제1장. 중세도시거설에서 성의 지위/223
  제1절. 중세도시형성에서 성이 차지하는 지위/223
  제2절. 성에 의거한 중세초기 도시의 면모/229

 제2장. 중세 우리 나라에서 읍성건설/240
  제1절. 도성의 건설/240
  제2절. 읍성건설의 시작/259

 제3장. 중세 우리 나라에서 읍성의 전면적도입/262
  제1절. 읍성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게 된 리유/262
  제2절. 읍성이 전면적으로 건설된 시기/264
  제3절. 읍성건설의 완료/282

 제4장. 중세 우리 나라 읍성의 형식과 크기, 산성과의 관계/285
  제1절. 읍성의 형식과 모양/285
  제2절. 읍성의 크기/289
  제3절. 읍성과 산성의 관계/292

3	| 단군릉과 단군조선의 건국년대 및 수도
4	|  1. 단군릉의 전승경위와 거기에서 나온 반만년전의 유골
5	|   1) 발굴이전 단군릉의 전승경위
5	|     (1) 16세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단군릉관계 자료가 실리기까지
21	|     (2) 발굴전야에 이르기까지의 력사기록들에 전승되여 온 단군릉관계 자료
35	|   2) 단군릉에서 나온 반만년전의 유골
41	|  2. 단군조선의 건국년대와 수도
41	|   1) 고조선의 《삼조선》과 단군조선
53	|   2) 단군조선의 건국년대
54	|     (1) 단군조선건국년대의 새로운 해명
60	|     (2) 단군관계 옛 자료들에 반영되여온 단군조선의 건국년대,
		   B.C. 2333년설
72	|   3) 단군조선의 수도
74	|     (1) 각종 력사자료들을 통하여 본 단군조선의 수도
83	|     (2) 력대 왕조들의 평양중시정책

89	| 단군조선의 정치 및 경제제도
89	|  1. 단군조선시기의 정치제도
101	|  2. 단군조선시기 생산의 발전과 경제제도
101	|   1) 생산의 발전
113	|   2) 경제제도
122	|  3. 단군조선시기의 계급신분관계

125	| 평양은 우리 나라 고대문화의 중심지

139	| 평양일대의 고대성곽
140	|   1) 평양일대 고대성곽의 분포
150	|   2) 평양일대 고대성곽의 종류
155	|   3) 평양일대 고대성곽의 축조년대

166	| 중세사서들에 반영된 고조선력사관

245	| 대종교는 단군을 숭배하는 민족종교

273	| 야요이문화의 조선적성격을 통하여 본 고대조선의 경제문화의 발전면모

서포항원시유적발굴보고 --- 3

 1. 발굴 --- 3
 2. 구석기시대층 --- 12
 3. 신석기시대층 --- 18
 4. 청동기시대층 --- 128

고구려평양성 --- 190
 1. 평양성을 쌓게 된 경위와 그것을 쌓은 년대 및 규모 --- 190
  1) 평양성을 쌓게 된 력사적필연성 --- 191
  2) 평양성을 쌓은 년대와 규모 --- 196

 2. 평양성의 축조형식과 그 시설물 --- 216
  1) 평양성의 위치와 지형 및 성자리 --- 216
  2) 평양성의 성벽 --- 223
  3) 평양성의 문 --- 243
  4) 평양성의 시설물 --- 253
  5) 평양성안의 도시유적 --- 263

 3. 고구려평양성이 우리 나라 성발전에서 가지는 력사적의의--- 275
  1) 평양성이전 성들의 형태에 대한 개관 --- 276
  2) 평양성이 우리 나라 성발전에서 가지는 력사적의의 --- 284

조선사람머리뼈의 인류학적 특징 --- 291
 1. 머리뼈자료에 의한 조선사람의 인류학적특징--- 292
  1) 현대조선사람머리뼈의 인류학적특징--- 292
  2) 우리 나라 원시시대주민들의 인류학적특징 --- 305

 2. 원시시대주민들과 현대주민들간의 유전학적계승관계--- 313
  1) 같은 시기 이웃주민들과의 비교 --- 313
  2) 우리 나라 윈시시대주민들과 
현대 주민들간의 유전학적계승관계 --- 318

 3. 조선사람의 인종소속에 대한 몇가지 문제--- 323

과거 우리 나라 공동로동의 형태와 그 특성 --- 332

제1편. 조선도자사연구 --- 4

제1장. 삼국시기와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도자기 --- 4

 제1절. 삼국시기 도자기 --- 4
  1) 고구려의 도자기 --- 4
  2) 백제의 도자기--- 23
  3) 전기신라의 도기 --- 40
  4) 가야의 도기--- 50

 제2절. 발해 및 후기신라의 도자기 --- 56
  1) 발해의 도자기 --- 56
  2) 후기 신라의 도자기--- 67

제2장. 고려자기 --- 77

 제1절. 고려자기생산의 사회력사적 환경과 자기수공업--- 77
  1) 자기생산의 사회력사적환경 --- 77
  2) 자기수공업--- 81
  3) 자기가마터의 분호와 자기생산방법 --- 85

 제2절. 고려자기의 류형과 그 변천--- 97
  1) 고려자기의 류형과 편년 --- 97
  2) 청자기와 그 변천 --- 101
  3) 무늬박이(상감)청자기와 그 변천 --- 125
  4) 백자기와 그 변천 --- 132
  5) 각종 자기류들과 그 변천 --- 136

제 2편. 고려자기 ---- 150

1. 고려자기발전의 사회력사적전제와 자기제작기술의 발전 --- 150

 1) 고려자기발전의 사회력사적전제 --- 150
  고려자기발전의 사회력사적환경 --- 150
  자기에 대한 사회적수요의 증대 --- 151
  자기의 광범한 보급 --- 153
  자기수공업의 편성 --- 158

 2) 자기제작기술의 발전 --- 159

2. 고려자기의 류형별변천 --- 174

 1) 푸른자기--- 174
  고려 초기의 푸른자기 --- 175
  고려 중기의 푸른자기 --- 177
  고려 말기의 푸른자기 --- 187

 2) 무늬박이자기--- 180
  무늬박이자기의 일반적특징 --- 190
  무늬박이의자기의 변천 --- 191

 3) 흰자기(백자기)--- 196
  무늬를 넣지 않은 흰자기 --- 196
  오목새김흰자기 --- 197
  돋을새김흰자기 --- 198
  무늬박이흰자기 --- 199

 4) 검은자기(흑자기) --- 201

 5) 갈색자기 --- 204

 6) 진흥자기 --- 206

 7) 화금자기 --- 208

 8) 그린무늬자기 --- 210

 9) 분장자기 --- 213

 10) 알록반죽자기 --- 217

3. 고려자기의 형태, 색갈, 무늬장식 --- 218

 1) 고려자기의 형태--- 218
  평면형자기의 형태 --- 218
  수직형자기의 형태 --- 225

 2) 고려자기의 색갈--- 232

 3) 고려자기의 무늬장식--- 235

평양부근 동굴유적발굴보고/3

 Ⅰ. 승호군 만달리 동굴유적발굴보고/3
  1. 유적의 지리적위치와 층위관계/4
  2. 유물의 형태학적분석/8
  3. 유물에 대한 고찰/88
 Ⅱ. 력포구역 대현동유적발굴보고/110
  1. 유적에서 드러난 인류화석과 동물화석/110
  2. 유적의 성격/163
 Ⅲ. 승호군 화천동유적에서 드러난 화석포유동물상/191
  1. 지리적위치와 지층관계/193
  2. 동물화석/198
  3. 동물상의 특징/244

구석기시대 대동강류역의 자연환경과 당시 사람들의 생활/252

 제1장. 유적의 개관과 포분학적특징/253
  제1절. 구석기시대유적의 개관/253
  제2절. 주요 유적의 포자-화분구성과 특징/257
   1. 검은모루유적/258
   2. 대현동유적/272
   3. 승리산유적/280
   4. 만달리유적/288
 제2장. 포분구성을 통하여 본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297
  제1절. 구석기시대 전기의 자연환경/298
  제2절. 구석기시대 중기의 자연환경/312
  제3절. 구석기시대 후기의 자연환경/320
 제3장. 자연환경변화에 대처한 당시 사람들의 생활/333
  제1절. 원인들의 생활/334
  제2절. 고인들의 생활/342
  제3절. 신인들의 생활/352

화석도판설명/361

차례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로동도구에 관한 연구/2

귀틀무덤을 남긴 정치세력에 관한 연구/91

유적유물을 통하여 본 삼국문화의 공통성에 관한 연구/170

중세 우리 나라 살림집풍습의 력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257

우리 나라 중세 등롱에 관한 고찰/287

머리말 / 3

제1장. 서북조선일대의 자연지리적 조건과 력사개관 / 6
제1절. 서북조선일대의 자연지리적 조건 / 6
제2절. 서북조선일대의 력사개관 / 10

제2장. 서북조선일대의 고대성곽 / 19
제1절. 서북조선일대의 고대성곽유적 / 19
제2절. 서북조선일대 고대성곽의 종류와 구조 / 56
제3절. 서북조선일대 고대성곽의 축조시기 / 67
제4절. 서북조선일대 고대성곽의 특징 / 78
제5절. 서북조선일대 고대성곽의 성격 / 84

제3장. 서북조선일대의 중세성곽 / 91
제1절. 서북조선일대 중세성곽의 분포 / 91
제2절. 서북조선일대 중세성곽의 종류 / 99
제3절. 서북조선일대에서 중세기의 성곽건축 / 109
제4절. 서북조선일대 중세성곽의 특징 / 114

제4장. 서북조선일대의 성방어체계 / 119
제1절. 서북조선일대의 압록강유역의 성방어체계 / 120
제2절. 서북조선일대의 종심성방어체계 / 176
제3절. 서북조선일대의 위성방어체계 / 244

제5장. 서북조선일대 성방어체계의 역할 / 268

궁산문화에 대한 연구 ... ( 2 )

    1. 문화갖춤새의 특징
    2. 유물갖춤새의 변천
    3. 궁산문화주민들의 생활모습


고구려사람들의 예술활동에 관한 연구 ... ( 93 )

    1. 고구려사람들의 음악무용활동
    2. 고구려사람들의 음악무용활동의 특징과 의의


덕천승리산유적 ... ( 129 )

    1. 유적의 지리적위치와 지층관계
    2. 구석기시대문화층
        1) 사람뼈화석
        2) 짐승화석
    3. 고대문화층
        1) 무덤과 집자리
        2) 유물
        3) 사람뼈
        4) 짐승뼈
 

[ 삼국시기 수도방위성체계에 관한 연구 / 3 ]

제1장. 고구려 수도방위성체계 / 5

제2장. 백제 수도방위성체계 / 45

제3장. 전기신라 및 가야, 후부여 수도방위체계 / 68

제4장. 삼국시기 수도방위체계의 공통성과 연원 / 89


[ 부거리일대의 발해무덤에 대한 연구 / 99 ]

제1장. 무덤의 분포와 류형 및 형식구분 / 100

제2장. 무덤의 짜임새와 축조시기 / 110

제3장. 부거리일대의 발해무덤의 성격 / 161


[ 원시사회의 생산활동에 대한 연구 / 215 ]

제1장. 원시사회의 획득경리단계 / 216
제1절. 원시무리집단에서 생산활동 / 216
제2절. 초기씨족공동체에서의 생산활동 / 225

제2장. 원시사회의 생산경리단계 / 243
제1절. 원시농업의 발생 / 243
제2절. 집짐승기르기의 발생발전과 유목경리의 형성 / 259
제3절. 원시수공업의 발생발전 / 271

제3장. 원시사회의 사회경제적관계 / 284
제1절. 초기원시공동체의 사회경제적관계 / 284
제2절. 후기원시공동체의 사회경제적관계 / 296

[ 고구려벽화무덤의 행렬도에 관한 연구 / 4 ]

제1장. 고구려벽화무덤행렬도의 구성과 그 류형 및 변천 / 6

제2장. 고구려행렬의 등급과 편성 및 그 특징 / 39

제3장. 행렬도를 통하여 본 고구려의 국력강화 / 79


[ 고구려벽화무덤의 수렵도에 관한 연구 / 126 ]

제1장. 고구려벽화무덤에 그려진 수렵도의 유형 / 128

제2장. 수렵도를 통하여 본 고구려인민들의 사냥활동 / 159

제3장. 고구려무덤벽화수렵도의 회화적특징과 문화사적지위 / 195


[ 고구려기와에 관한 연구 / 237 ]

제1장. 고구려기와의 분류 / 238

제2장. 고구려기와의 년대와 변천 / 294

제3장. 기와를 통하여 본 고구려문화의 력사적지위 / 330

[ 인류진화발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이발변화의 기본특징 / 4 ]

제1장. 고등령장류의 이발 / 6
제1절. 화석류인원의 이발 / 7
제2절. 현생류인원의 이발 / 14
제3절. 두발걸음원숭이의 이발 / 19

제2장. 인류화석의 이발 / 30
제1절. 원인단계사람들의 이발 / 31
제2절. 고인단계사람들의 이발 / 42
제3절. 신인단계사람들의 이발 / 56

제3장. 류인원이 사람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이루어진 이발변화의 특징 / 65
제1절. 이발변화의 기본요인 / 65
제2절. 류인원의 인간화과정에 이루어진 이발의 변화 / 71
제3절. 인류의 진화발전과정에 이루어진 이발의 변화 / 77


[ 조선동해안일대의 발해유적에 관한 연구 / 85 ]

제1편. 조선동해안일대의 조사발굴된 발해의 유적과 유물 / 87
제1장. 발해의 평지성과 산성 / 87
제2장. 발해의 절터 / 120
제3장. 발해의 무덤떼 / 154
제4장. 발해의 도자기가마터 / 183

제2편. 조선동해안일대 발해유적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와 고구려와의 계승관계 / 189
제1장. 북청군일대 유적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 189
제2장. 함경북도일대 유적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 211
제3장. 발해의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본 고구려와의 계승관계 / 225


[ 남양유적 제1지구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에 관한 연구 / 262 ]

1. 유적의 개관 / 263

2. 집자리와 유물 / 267

3. 문화갖춤새에 대한 고찰 / 319

머리말 / 5

제1장. 인류진화발전사연구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 7
제1절. 인류화석과 석기에 반영된 사람의 기본징표 / 8
제2절. 인류진화발전과정의 기본특징 / 34
제3절. 고도로 발달된 인간유기체 / 53
제4절. 인류사회의 형성 / 68

제2장. 사람의 동물적선조 / 85
제1절. 령장류진화의 기본특징 / 86
제2절. 직립보행의 발생 / 97
제3절. 도구활동의 특성 / 107
제4절. 고등신경계통의 발달 / 114
제5절. 령장류무리생활의 특성 / 121

제3장. 원인단계의 사람 / 131
제1절. 류인원의 사람에로의 진화발전 / 131
제2절. 원인들이 남긴 우리 나라 구석기시대 전기의 유적유물 / 154 
제3절. 원인들의 형태학적특성 / 163
제4절. 사유와 언어의 발생 / 171
제5절. 원인들의 생산활동과 집단생활 / 190

제4장. 고인단계의 사람 / 222
제1절. 인류진화발전과정에서 고인단계가 차지하는 위치 / 222
제2절. 우리 나라에서 드러난 고인단계의 인류화석과 구석기시대 중기의 유적유물 / 237
제3절. 고인들의 형태학적특징 / 260
제4절. 고인단계에서 이루어진 사유의식활동능력 / 270
제5절. 고인들의 생산활동과 집단생활 / 285

제5장. 신인단계의 사람 / 317
제1절. 우리 나라에서 드러난 신인단계의 인류화석과 구석기시대 후기의 유적유물 / 317
제2절. 신인들의 형태학적특징 / 352
제3절. 신인들의 사유능력과 언어 / 355
제4절. 신인들의 생산활동과 씨족의 특성 / 370
제5절. 사회적의식의 형성, 원시예술과 원시신앙 / 404


조선은 유구한 력사를 가진 나라이며 조선사람은 우리 조국강토에서 기원한 슬기로운 인민 / 418

고구려벽화무덤의 별그림에 관한 연구 ... ( 2 )


고구려건축의 력사적지위 ... ( 93 )


고구려산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 215 )


조선사람의 혈청학적특징에 관한 연구 ... ( 244 )


중세 우리 나라 무술체육에 관한 연구 ... ( 288 )

머리말 / 5

[ 고분 / 7 ]

고분의 위치와 지형 / 7

정오동일대의 고분의 위치와 지형 / 8
정백동일대의 고분의 위치와 지형 / 10
남사리일대의 고분의 위치와 지형 / 15
토성동일대의 고분의 위치와 지형 / 17

1. 나무곽무덤 / 21
1) 나무곽무덤의 짜임새 / 21
2) 유물배치상태 / 44
3) 유물 / 61

2. 귀틀무덤 / 104
1) 귀틀무덤의 짜임새 / 104
2) 귀틀무덤의 유물배치상태 / 139
3) 유물 / 153

3. 벽돌무덤 / 183
1) 벽돌널무덤 / 183
2) 벽돌곽무덤 / 185
3) 벽돌칸무덤 / 213

4. 독무덤(15기) / 422
1) 짜임새 / 422
2) 유물배치상태 / 427
3) 유물 / 428

5. 고구려돌칸흙무덤(13기) / 428
1) 무덤의 짜임새 / 428
2) 유물배치상태 / 433
3) 유물 / 434



[ 그밖의 유적 / 436 ]

1. 우물 / 436
1) 귀틀식우물 / 436
2) 벽돌우물 / 441

2. 고구려시설물 / 442
1) 위치 / 442
2) 유물이 드러난 상태 / 442
3) 유물 / 443

덕천 승리산유적의 년대에 대하여 / 4

조선사람이발인 인종적특징에 관한 연구 / 16
1. 자료와 방법 / 17
2. 조선사람이발의 인류학적특징 / 20 
3. 이발징표에 반영된 조선사람의 기원상 특성 / 63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갖춤새 변천에 보이는 문화발전의 고유성 / 77
1. 신석시대주민의 생활과 질그릇 / 79
2.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갖춤새의 변천 / 93
3.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감춤새변천의 특징 / 160

고고학자료집 / 181
무덤떼의 위치 / 182
나무곽무덤 / 185
귀틀무덤 / 266
벽돌무덤 / 287
독무덤 / 304

머리말 / 4

제1장. 성과 무기 / 8
제1절. 산성 / 8
제2절. 도성 / 36
제3절. 무기와 무장 / 50

제2장. 건축 / 82
제1절. 살림집 / 82
제2절. 궁전 / 90
제3절. 절간 / 96

제3장. 무덤 / 113
제1절. 돌각담무덤 / 114
제2절. 돌칸흙무덤 / 127

제4장. 미술 / 170
제1절. 회화 / 170
제2절. 조각과 공예 / 190

제5장. 음악, 무용, 교예 / 201
제1절. 음악 / 201
제2절. 무용 / 216
제3절. 교예 / 221

제6장. 풍속과 체육 / 227
제1절. 옷차림 / 228
제2절. 집살림 / 256
제3절. 체육 / 268

제7장. 고구려문화의 특성 / 278


부록 / 298
안학궁 남문의 초보적복원 / 298
1. 남문의 기본형식 / 298
2. 남문의 평면 / 300
3. 남문의 정면 / 304

머리말 / 5

제1장. 중인의 개념과 구성에 대한 일반적고찰 / 7
제1절. 중인과 기술관 / 7
제2절. 중인의 업종 및 교육선발 / 19

제2장. 리조 전반기 중인신분의 성립, 중인의 신분적처지 / 52
제1절. 중인신분의 성립 / 52
제2절. 중인의 신분적처지 / 91

제3장. 리조 전반기 중인과 다른 신분들과의 관계 / 113
제1절. 중인과 량반, 량인, 노비와의 관계 / 113
제2절. 중인과 서얼, 향리와의 관계 / 129

제4장. 리조 후반기 중인의 신분적처지의 개선, 사회적활동의 강화 / 142
제1절. 중인신분변화의 사회력사적배경 / 142
제2절. 중인의 신분적처지의 개선 / 165
제3절. 중인의 사회적활동의 강화 / 195

제5장. 실학자들의 중인신분개혁론 / 210
제1절. 중인에 대한 신분차별을 완화할데 대한 개혁론 / 210
제2절. 기술관제개혁론 / 220

제6장. 근대 부르죠아개혁운동과 중인신분의 해체 / 234
제1절. 부르죠아개혁운동에 의한 중인차별의 법적폐지 / 234
제2절. 잡과제도의 폐지와 새로운 기술관등용법의 제정 / 237
제3절. 근대적인 기술관양성체계의 수립 / 248


맺는말 / 256

부록 / 258

머리말 --- 9

1. 대성산성 --- 17

1) 대성산성의 위치와 지형
2) 대성산성의 모양과 크기
3) 대성산성벽의 구조
(1) 산성벽
  ① 소문봉의 산성벽
  ② 주작봉의 산성벽
  ③ 남문터부근의 성벽
(2) 치
(3) 성문
  ① 남문터
  ② 소문봉성문터
4) 산성안의 집자리
(1) 산성안 집자리의 분포
(2) 발굴한 집자리
  ① 국사봉의 집자리
  ② 주작봉의 집자리
(3) 조사한 집자리
  ① 장수봉서남쪽골짜기의 집자리
  ② 대성산성중심에 있는 집자리
  ③ 그밖의 집자리
5) 산성의 못
(1) 대성산성안의 못의 분포와 수
(2) 못의 류형과 구조
  ① 정방형의 못
    ㄱ. 제2호못
    ㄴ. 제10호못(구룡못)
  ② 장방형의 못
    ㄱ. 제1호못(잉어못)
    ㄴ. 제3호못(형제못)
    ㄷ. 제5호못
    ㄹ. 제6호못
  ③ 3각형의 못(제7호못)
  ④ 원형의 못(제16호못)
6) 대성산성에서 나온 유물
(1) 책
(2) 조각상
(3) 청동제마구
  ① 원형마구
  ② 청동방울
(4) 질그릇과 청동그릇
  ① 질그릇
  ② 청동그릇
(5) 기와
  ① 수기와와 수기와막새
  ② 암기와
(6) 대형석재와 불에 탄 낟알
  ① 대형석재
  ② 불에 탄 낟알


2. 안학궁터 --- 126

1) 안학궁성
(1) 성벽
  ① 남쪽성벽
  ② 동쪽성벽
  ③ 서쪽성벽
  ④ 북쪽성벽
(2) 성문
  ① 남쪽성문
    ㄱ. 가운데남문
    ㄴ. 동쪽남문
    ㄷ. 서쪽남문
  ② 동쪽성문
  ③ 서쪽성문
  ④ 북쪽성문
  ⑤ 수구문
(3) 해자
  ① 동쪽해자
  ② 서쪽해자
(4) 성벽밑의 길
2) 궁전터
(1) 남궁
  ① 제1호궁전
    가. 궁전
      ㄱ) 궁전터
      ㄴ) 궁전건물의 평면구조
      ㄷ) 주추돌의 기초시설
    나. 회랑
      ㄱ) 동서량쪽 회랑
      ㄴ) 앞회랑과 문
  ② 제2호궁전
    ㄱ. 궁전
    ㄴ. 회랑
  ③ 제3호궁전
(2) 중궁
  ① 제1호궁전
    ㄱ. 궁전
    ㄴ. 회랑
  ② 제2호궁전
    ㄱ. 궁전
    ㄴ. 회랑
  ③ 제3호궁전
(3) 북궁
  ① 제1호궁전 및 제2호궁전
  ② 제3호, 제4호, 제5호궁전
  ③ 제6호, 제7호궁전
(4) 동궁
  ① 제1호, 제2호, 제3호, 제4호궁전
  ② 제5호, 제6호궁전
(5) 서궁
  ① 제1호궁전
    ㄱ. 궁전
    ㄴ. 회랑
  ② 제2호궁전
  ③ 제3호궁전
  ④ 제4호궁전
  ⑤ 서궁남쪽구역의 회랑
3) 유물
(1) 기와
  ① 암기와
    가. 암기와
    나. 막새가 있는 암기와
  ② 수기와
    가. 수기와 
    나. 막새가 있는 수기와
    다. 마무리기와
    라. 우에 구멍이 있는 기와
  ③ 마루기와
    가. 막새가 없는 마루기와
    나. 막새가 있는 마루기와
    다. 마루밑기와
(2) 지붕장식품
  ① 치미
  ② 귀면
(3) 질그릇
  ① 독
  ② 항아리
  ③ 단지
  ④ 버치
  ⑤ 옹배기
  ⑥ 대야
  ⑦ 뚜껑꼭지
(4) 벼루
(5) 유리장식품
(6) 구슬
  ① 옥구슬
  ② 흙구술
  ③ 사기구슬
(7) 철제품
  ① 활촉
  ② 쇠못
4) 정원터
(1) 남궁의 정원터
(2) 북궁의 정원터
(3) 중궁의 정원터
(4) 서궁의 정원터
5) 동궁의 못자리


3. 고루려무덤 --- 290

1) 대성산일대의 고구려무덤의 분포
2) 무덤의 류형과 구조
(1) 돌각담무덤
  ① 기단이 없는 돌각담무덤(대성산성 1호무덤)
  ② 기단이 있는 돌각담무덤(대성산성 2호무덤)
(2) 돌칸흙무덤
  ① 안길이 치우쳐있는 외칸무덤
    ㄱ. 대성산성 3호, 4호, 5호무덤
    ㄴ. 식물원 6호, 11호, 12호, 19호, 안학궁1호무덤
  ② 쌍칸무덤
  ③ 안길이 가운데 있는 외칸무덤
  ④ 감 또는 곁칸이 있는 무덤
3) 무덤의 벽화
(1) 9호무덤의 벽화
(2) 10호무덤의 벽화
(3) 15호무덤의 벽화
4) 무덤에서 나온 유물
(1) 질그릇
  ① 대야
  ② 자배기
  ③ 다지
(2) 벽돌
(3) 쇠활촉
(4) 쇠못
(5) 고리쇠
(6) 쇠허리띠고리와 쇠장식판쪼각
(7) 치레거리
  ① 귀고리
  ② 팔찌와 가락지
  ③ 은제 치레거리
  ④ 청동제 치레거리
(8) 금속화페


맺는말 --- 346

평양일대의 벽돌칸무덤에 관한 연구 --- 4

제1장. 평양일대 벽돌칸무덤의 분류
제1절. 구조형식을 통하여 본 벽돌칸무덤의 분류
제2절. 껴묻거리에 의한 벽돌칸무덤의 분류
제3절. 벽돌무늬에 의한 벽돌칸무덤의 분류

제2장. 평양일대 벽돌칸무덤의 변천과 년대 및 그 연원
제1절. 외칸벽돌무덤의 변천
   1. 외칸별돌무덤의 변천
   2. 두칸벽돌무덤의 변천
   3. 곁칸있는 벽돌칸무덤의 변천
제2절. 평양일대 벽돌칸무덤의 년대
제3절. 평양일대의 벽돌칸무덤은 뒤틀무덤의 계승


고려무덤에 관한 연구 --- 95

제1장. 고려무덤의 짜임새와 무덤벽화
제1절. 고려무덤의 짜임새와 류형
   1. 돌칸흙무덤의 짜임새와 류형
   2. 돌곽흙무덤의 짜임새와 류형
   3. 움무덤의 짜임새와 류형
제2절. 고려무덤의 변화

제2장. 고려무덤과 무덤벽화의 변천
제1절. 고려무덤의 변천
   1. 돌칸흙무덤의 변천
   2. 돌곽흙무덤의 변천
   3. 움무덤의 변천
제2절. 고려무덤벽화의 변천

제3장. 고려무덤의 연원과 문화사적지위
제1절. 고려무덤의 연원
제2절. 고려무덤의 문화사적지위
   1. 고려무덤이 우리 나라 묘재변천에서 차지하는 지위
   2. 고려무덤이 리조무덤에 준 영향


삼국시기 마구에 관한 연구 --- 177

제1장. 심국시기의 마구
제1절. 고구려의 마구
제2절. 백제, 신라 및 가야의 마구
   1. 백제의 마구
   2. 신라의 마구
   3. 가야의 마구

제2장. 삼국시기 미구의 공통성과 그 요인
제1절. 삼국시기 마구의 공통성
제2절. 심국시기 마구발전에서 논 고구려의 선도적역할

제3장. 삼국시기 마구가 동아시아의 마구 발전에서 차지하는 지위
제1절. 삼국시기 마구의 일본렬도에로의 보급
제2절. 북중국일대의 마구발전에 미친 고구려의 영향

강안리유적발굴보고 --- 3

1. 발굴과정과 층위관계
   1) 유적의 위치 및 발굴경워
   2) 발굴과 층위관계
2. 제1문화층
   1) 집자리
   2) 유물
3. 제2문화층
   1) 집자리
   2) 유물
4. 제3문화층
   1) 집자리
   2) 유물

구룡강유적발굴보고 --- 69

1. 유적의 위치와 발굴과정
2. 층위관계
3. 제1문화층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2) 유물
4. 제2문화층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2) 유물
5. 제3문화층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2) 유물

고연리유적에 관한 연구 --- 167

제1장. 집자리와 유물
   제1절. 유적의 위치와 집자리분포정형
   제2절. 집자리와 유물
제2장. 집자리들의 선후관계와 문화갖춤새의 변천
   제1절. 집자리들의 선후관계
   제2절. 문화갖춤새의 변천
제3장. 고연리유적의 존재시기와 학술적의의
   제1절. 고연리유적의 존재시기
   제2절. 고연리유적발굴의 학술적의의


머리말 --- 3

1. 남포시 천리마구역 태성1호도자기가마터 --- 4
  1) 가마터의 위치
  2) 발굴진행정형
  3) 유 물

2. 황해남도 봉천군 봉암리도자기가마터 --- 33
  1) 봉암리1호도자기가마터
  2) 봉암리2호도자기가마터
  3) 봉암리3호도자기가마터
  4) 봉암리4호도자기가마터
  5) 봉암리5호도자기가마터

3. 황해남도 배천군 원산리도자기가마터 --- 81
  1) 가마터
  2) 원산리도자기제작터
  3) 원산리도자기가마터에 있는 집터
  4) 기타 수집 유물

4. 황해남도 옹진군 은동리도자기가마터 --- 212
  1) 가마터발굴
  2) 유 물

5. 황해남도 과일군 사기리도자기가마터 --- 221
  1) 사기리1호도자기가마터
  2) 사기리2호도자기가마터
  3) 사기리3호도자기가마터
  4) 사기리4호도자기가마터
  5) 사기리5호도자기가마터
  6) 사기리6호도자기가마터

6. 황해남도 장연군 박산리1호가마터 --- 264
  1) 가마터발굴
  2) 유 물

7. 황해북도 평산군 봉천리도자기가마터 --- 277

8. 도자기가마터 년대 --- 297
  1) 원산리 2, 3, 4호가마터와 봉암리 1호 및 태성1호가마터의 년대
  2) 원산리1호가마터와 봉암리 2, 3, 4, 5호가마터의 년대
  3) 은동리가마터와 사기리가마터들, 박산리1호가마터, 봉천리 가마터들의 년대
 

마산리유적발굴보고 --- 5

1.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1) 1호집자리
  (2) 2호집자리
  (3) 3호집자리
  (4) 5호집자리
  (5) 6호집자리
  (6) 7호집자리
  (7) 8호집자리
  (8) 9호집자리
  (9) 15호집자리
  (10) 18ㅡ ㄱ 호집자리
  (11) 18ㅡ ㄴ 호집자리
  (12) 21호집자리
2) 유물
  (1) 로동도구
  (2) 질그릇
  (3) 기타유물

2. 고조선시기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로동도구
  (3) 기타유물
  (4) 수집된 유물
3) 돌관무덤


반궁리유적발굴보고 --- 136

1. 발굴경위와 유적의 위치
2. 유적의 현 상태와 발굴
3. 집자리와 유물
  (1)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유물
  (2) 고대의 유물
4. 유적의 성격


표대유적 제1지점 팽이그릇집자리 발굴보고 --- 196

1. 팽이그릇집자리의 발굴과 층위관계

2. 팽이그릇1기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1) 2호집자리
  (2) 8호집자리
  (3) 12호집자리
  (4) 18호집자리
  (5) 22호집자리
  (6) 32호집자리
  (7) 47호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석기

3. 팽이그릇2기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1) 3호집자리
  (2) 5호집자리
  (3) 7호집자리
  (4) 11호집자리
  (5) 17호집자리
  (6) 20호집자리
  (7) 21호집자리
  (8) 23호집자리
  (9) 25호집자리
  (10) 29호집자리
  (11) 40호집자리
  (12) 48호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석기

4. 팽이그릇3기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1) 4호집자리
  (2) 6호집자리
  (3) 10호집자리
  (4) 13호집자리
  (5) 24호집자리
  (6) 30호집자리
  (7) 41호집자리
  (8) 45호집자리
  (9) 46호집자리
  (10) 53호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청동비파형창끝
  (3) 청동장식품
  (4) 석기

5. 팽이그릇4기의 집자리와 유물
1) 집자리
  (1) 9호집자리
  (2) 14호집자리
  (3) 16호집자리
  (4) 19호집자리
  (5) 26호집자리
  (6) 37호집자리
  (7) 49호집자리
  (8) 54호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석기

제1장. 선행연구와 문제설정 --- 5
    제1절. 선행연구
    제2절. 문제설정

제2장. 중세루정건축의 정립과 류형분류 --- 13
    제1절. 루정건축의 정립
    제2절. 루정건축의 류형분류

제3장. 루정건축발전의 력사적고찰 --- 36
    제1절. 삼국시기의 루정
      1. 루각과 정각
      2. 당, 대
    제2절.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의 루정
      1. 발해의 루정
      2. 후기신라의 루정
    제3절. 고려시기의 루정
      1. 고려시기의 루정건설
      2. 고려시기 루정건축의 발전과 제특징
    제4절. 조선봉건왕조시기의 루정
      1. 왕궁루정
      2. 도시풍치구역의 루정
      3. 살림집루정
      4. 객사루정
      5. 절간루정
      6. 시원, 향교루정

제4장. 중세루정건축의 배치와 그 특징 --- 155
    제1절. 루정의 배치
      1. 사명과 기능에 따르는 배치
      2. 자연의 인입에 따르는 배치
    제2절. 루정건축의 건축형성구조적특징
      1. 루정의 건축구성적특징
      2. 루정의 건축주조적특징

대동강류역 청동기시대집자리와 유물에 관한 연구 --- 3

제1장. 청동기시대집자리와 그 분포
    제1절. 청동기시대집자리
    제2절. 청동기시대집자리유적의 분포

제2장. 집자리짜임새와 유물갖춤새
    제1절. 집자리짜임새
    제2절. 유물갖춤새

제3장. 집자리와 유물에 반영된 대동강류역 청동기시대문화의 성격
    제1절. 대동강류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연원
    제2절. 대동강류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성
    제3절. 대동강류역 총동기시대문화의 문화사적지위

송림, 황주일대의 팽이그릇관계집자리유적에 관한 연구 --- 83

제1장. 송림, 황주일대의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와 유물
    제1절. 송림, 황주일대의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유적 개관
    제2절. 송림, 황주일대의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와 유물

제2장. 문화갖춤새에 대한 고찰
    제1절. 집자리유적의 편년
    제2절. 문화갖춤새의 변천

발해도자기에 관한 연구 --- 182

제1장. 발해도자기의 종류 
    제1절. 발해도기의 종류
    제2절. 발해자기의 종류

제2장. 발해도자의 변천
    제1절. 발해도기의 변천
    제2절. 발해자기의 변천

제3장. 발해도자기의 문화사적지위
    제1절. 발해도자기의 특징
    제2절. 발해와 고구려도자기와의 호상관계
    제3절. 발해와 고구려도자기와의 호상관계

평양지방의 타래무늬그릇갖춤새에 관한 연구 --- 3

제1장. 타래무늬그릇의 개념과 분류
   제1절. 타래무늬그릇의 개념
   제2절. 타래무늬그릇의 분류

제2장. 타래무늬그릇갖춤새의 변천
   제1절. 타래무늬그릇관계유적들의 선후관계
   제2절. 타래무늬그릇갖춤새의 변천

제3장. 타래무늬그릇갖춤새를 통하여 본 평양 지방의 신석기시대 중기문화


압록강하류일대의 신석기시대 문화갖춤새의 특징 --- 83

제1장. 압록강하류일대 신석기시대유적들의 년대
제2장. 압록강하류일대 신석기시대문화갖춤새
   제1절. 신석기시대 전기의 문화갖춤새
   제2절. 신석기시대 중기의 문화갖춤새
   제3절. 신석기시대 후기의 문화갖춤새
제3장. 문화갖춤새의 특징
   제1절. 압록강하류일대의 문화갖춤새를 통하여 본 미송 - 소주산지역문화의 특징
   제2절. 선석기시대 후기의 질그릇샂춤새에 반영된 압록강하류일대 문화유형의 특징


일본고분시기도기와 그의 조선적성격 --- 198

제1장. 도기가 나온 고분시기유적과 유물
   제1절. 규슈지역에서 도기가 나온 유적과 유물
   제2절. 깅끼지방에서 도기가 드러난 유적과 유물

제2장. 고분시기도기의 종류와 변천
   제1절. 고분시기도기의 종류
   제2절. 고분시기도기의 변천

제3장. 고분시기도기에 반연된 조선적성격
   제1절. 고분시기도기의 조선적성격
   제2절. 일본 고분시기도기발생발전의 사회력사적배경
 

제1장. 동굴유적의 발굴 --- 5
   제1절. 동굴유적의 위치와 발굴경위
   제2절. 동굴퇴적층의 구분
   제3절. 유적발굴정형

제2장. 유물들의 분석 --- 19
   제1절. 유물의 성격
   제2절. 동물화석감정

제3장. 동굴유적에 대한 고찰 --- 91
   제1절. 랭정사람의 진화적고찰
   제2절. 랭정문화의 성격
   제3절. 고생물상의 지리적분포와 당시 환경
   제4절. 동굴유적의 년대


고구려무덤벽화의 실내생활도에 관한 연구 --- 174

제1장. 고구려무덤벽화에서 차지하는 실내생활동의 위치와 분류 --- 176
   제1절. 고구려무덤벽화의 주제와 실내생활도
   제2절. 고구려무덤벽화 실내생활도의 분류

제2장. 고구려무덤벽화실내생활도의 변천과 특징 --- 242
   제1절. 고구려무덤벽화실내생활도의 변천
   제2절. 고구려무덤벽화실내생활도의 특징

제3장. 고구려무덤벽화실내생활도의 문화사적의의 --- 265
 

삼국시기 불교미술연구 --- 5

제1장. 삼국시기 불교미술발전의 력사적 전제와 일반적특징
제1절. 삼국시기 불교미술발전의 력사적 전제
   1. 불교의 전파와 불교미술의 발생
   2. 삼국시기 불교미술발전의 전제조건
제2절. 삼국시기 불교미술의 일반적 특징과 그 발전단계
   1. 삼국시기 불교미술의 일반적 특징
   2. 삼국시기 불교미술의 발전단계

제2장. 절간건축
제1절. 삼국시기 절간건축의 변화발전
제2절. 1탑3금당식절간건축
제3절. 1탑1급당식절간건축
제4절. 특수형식의 절간
제5절. 삼국시기 절간건축에 반영된 건축술의 우수성

제3장. 탑
제1절. 삼국시기 탑의 변화발전
제2절. 나무탑
제3절. 돌탑

제4장. 불상조각
제1절. 삼국시기 불상조각의 변화발전, 양식상특징
   1. 삼국시기 불상조각의 변화발전
   2. 삼국시기 불상조각양식의 일반적 특징과 그 변화발전
제2절. 단신상 - 여래상과 보살상
   1. 여래상
   2. 보살상
제3절. 삼존상 - 구성형식의 변화
   1. 일광삼존상
   2. 단신상병립의 삼존상
제4절. 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미륵여래상
제5절. 삼국시기불상조각의 제작방법과 조형예술적기교


고려의 수도위성방어체계에 대한 연구 --- 105

제1장. 고려의 수도성 - 개성성
제1절. 개성성의 건설
제2절. 개성성의 구조

제2장. 개성성의 위성방어체계
제1절.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구성
   1. 개성성의 북쪽위성
   2. 개성성의 동쪽위성
   3. 개성성의 남쪽위성
제2절.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형성
   1. 초기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형성
   2. 중기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형성
   3. 후기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형성
제3절. 개성성 위성방어체계의 특징

제3장. 개성성 위성방어체계가 반침략 투쟁에서 논 역할


조선남부지역의 나무곽무덤에 관한 연구 --- 211

제1장. 남부조선지역의 나무곽무덤의 분포와 그 류형
제1절. 남부조선지역의 나무곽무덤의 분포
제2절. 남부조선 나무곽무덤의 류형과 구조형식
   1. 제1류형의 나무곽무덤
   2. 제2류형의 나무곽무덤

제2장. 남부조선지역 나무곽무덤의 변천과 그 년대
제1절. 남부조선지역 나무곽무덤의 변천
   1. 무덤의 껴묻거리갖춤새
   2. 무덤의 변천
제2절. 남부조선 나무곽무덤의 년대

제3장. 남부조선지역 나무곽무덤의 연원과 특성
제1절. 남부조선지역 나무곽무덤의 연원
제2절. 남부조선지역 나무곽무덤의 특성
   1. 무덤의 짜임새에서 보이는 특징
   2. 무덤의 껴묻거리갖춤새에서 보이는 특징
 

삼국시기 수도형식에 관한 연구 --- 3

제1장. 고구려 수도형식 
   제1절. 졸본도읍시기의 고구려 수도형식
   제2절. 국내도읍시기의 고구려 수도형식
   제3절. 안학도읍시기의 고구려 수도형식
   제4절. 평양도읍시기 고구려 수도형식
   제5절. 고구려수도의 발전과정

제2장. 백제 수도형식
   제1절. 위례도읍시기의 백제 수도형식
   제2절. 웅진도읍시기의 백제 수도형식
   제3절. 사비도읍시기의 백제 수도형식
   제4절. 백제수도의 발전과정

제3장. 신라의 수도형식
   제1절. 전기신라시기의 수도관계유적들
   제2절. 신라수도의 발전과정

제4장. 삼국시기 세나라 수도발전에서 고구려 수도형식이 차지하는 력사적지위


고구려돌각무덤에 관한 연구 --- 143

제1장. 고구려돌각무덤의 구조와 류형
   제1절. 고구려돌각무덤의 구조와 축조방법
   제2절. 고구려돌각무덤의 류형

제2장. 고구려돌각무덤의변천
   제1절. 고구려돌각무덤의 연원
   제2절. 고구려돌각무덤의 변천
   제3절. 고구려돌각무덤의 돌칸흙무덤에로의 이행

제3장. 고구려돌각무덤의 년대

제4장. 고구려돌각무덤의 력사적지위
   제1절. 고구려 전기문화를 대표하는 돌각담무덤
   제2절. 백제돌각담무덤의 고구려적성격
   제3절. 일본고분시대무덤들의 고구려적성격
 

하료하일대 신석기시대문화에 관한 연구 --- 3

제1장. 하료하일대 신석기시대유적들의 분포와 시기구분
제1절. 신석기시대유적들의 분포
제2절. 신석기시대유적들의 시기구분

제2장. 하료하일대 신석기시대문화갖춤새와 그 변천
제1절. 집자리짜임새와 그 변천
   1. 집자리짜임새
   2. 집자리짜임새의 변천
제2절. 석기갖춤새와 그 변천
   1. 석기갖춤새
   2. 석기갖춤새의 변천
제3절. 질그릇갖춤새와 그 변천
   1. 질그릇갖춤새
   2. 질그릇갖춤새의 변천

제3장. 하료하일대 신석기시대문화의 성격
제1절. 압록강하류일대 신석기시대 문화와의 공통성
제2절. 서료하일대의 신석기시대문화와 구별되는 특징


머리뼈의 관찰징표를 통하여 본 조선사람의 인류학적특징 --- 122

제1장. 머리뼈의 관찰항목설정과 그 방법
제1절. 관찰징표에 대한 일반적 리해와 연구동향
제2절. 머리뼈의 관찰징표설정
   1. 자료
   2. 관찰징표의 설정규준
제3절. 관찰방법

제2장. 관찰징표로 본 조선사람 머리뼈의 인류학적특징
제1절. 형태상에서 나타나는 관찰징표의 특징
제2절. 구조상에서 나타나는 관찰징표의 특징

제3장. 관찰징표에 반영된 조선사람의 기원상특성
제1절. 중국사람과의 비교
제2절. 일본사람과의 비교
제3절. 관찰징표로 본 조선사람의 기원상특성
 

평양지방의 신석기시대 질그릇제작에 관한 연구 --- 4

제1장. 질그릇의 종류와 용도 --- 6
제1절. 질그릇의 종류
제2절. 질그릇의 용도

제2장. 질그릇의 질적상태 --- 42
제1절. 질그릇의 재질
제2절. 질그릇의 굳기와 흡수률
   1. 질그릇의 굳기와 흡수률측청을 위하여 적용한 실험방버
   2. 석면 및 활석질그릇의 굳기와 흡수률
   3. 모래 및 점토질그릇의 굳기와 흡수률

제3장. 질그릇의 제작활동 --- 73


평양지방의 신석기시대문화에 관한 연구 --- 102

제1장. 신석기시대유적의 분포와 시기구분 --- 104
제1절. 신석기시대유적의 분포
제2절. 시기구분

제2장. 신석기시대문화갖춤새 --- 120
제1절. 신석기시대 전기의 문화갖춤새
제2절. 신석기시대 중기의 문화갖춤새

제3장. 평양지방신석기시대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 170
제1절. 고유성
제2절. 우수성

맺는말 --- 197


팽이그릇시기집자리에 관한 연구 --- 202

제1장. 팽이그릇시기집자리유적의 분포와 시기구분 --- 204
제1절. 유적의 분포
제2절. 유적의 시기구분

제2장. 팽이그릇시기의 집자리 짜임새와 그 변천 --- 215
제1절. 집자리짜임새
1) 제1기의 집자리짜임새
2) 제2기의 집자리짜임새
3) 제3기의 집자리짜임새
4) 제4기의 집자리짜임새
제2절. 집자리짜임새의 변천

제3장. 팽이그릇시기집자리에 반영된 문화의 성격 --- 250
제1절. 팽이그릇시기집자리의 연원
제2절. 팽이그릇시기집자리에 반영된 문화의 성격

소정리유적에 관한 연구 --- 4

제1장. 유적의 개관 --- 5

제2장. 집자리와 유물 --- 12
제1절.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유물
  1. 1기층의 집자리와 유물
  2. 2기층의 집자리와 유물
  3. 3기층의 집자리와 유물
제2절. 고대의 집자리와 유물

제3장. 문화갖춤새의 성격 --- 54
제1절. 신석기시대문화갖춤새의 성격
제2절. 고대문화갖춤새의 성격


표대유적에 대한 연구 --- 96

제1장. 팽이그릇시기 집자리들의 분포정형과 층서관계 --- 98
제1절. 팽이그릇시기 집자리들의 분포정형
제2절. 팽이그릇시기 집자리들의 층서관계

제2장. 팽이그릇시기 집자리들과 유뮬 --- 112
제1절. 팽이그릇기기 1기의 집자리와 유뮬
  1. 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무기류
    3) 로동도구
    4) 기타유물
제2절. 팽이그릇기기 2기의 집자리와 유뮬
  1. 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무기류
    3) 로동도구
    4) 기타유물
제3절. 팽이그릇기기 3기의 집자리와 유뮬
  1. 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무기류
    3) 로동도구
    4) 기타유물
제4절. 팽이그릇기기 4기의 집자리와 유뮬
  1. 집자리
  2. 유물
    1) 질그릇
    2) 무기류
    3) 로동도구

제3장. 표대유적을 통하여 본 대동강류역일대 고대문화의 성격 --- 215
제1절. 팽이그릇시기 집자리들의 년대
제2절. 집자리에 반영된 고대문화의 성격
제3절. 유물에 반영된 고대문화의 성격

조선신석기시대문화의 단일성과 고유성 --- 3

제1장. 신석기시대문화의 분포범위와 시기구분
  제1절. 문화의 지역적인 구분과 분포범위
  제2절. 시기구분

제2장. 신석기시대문화의 단일성
  제1절. 집자리짜임새를 통하여 본 문화의 단일성
  제2절. 로동도구갖춤새를 통하여 본 문화의 단일성
  제3절. 질그릇갖춤새를 통하여 본 문화의 단일성

제3장. 신석기시대문화의 고유성
  제1절. 씨비리지방의 신석기시대문화와 구별되는 고유성
  제2절. 황하류역일대의 신석기시대문화와 구별되는 고유성

부록 --- 200


고구려사신도무덤의 벽화에 관한 연구 --- 279

제1장.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내용
  제1절. 기본주제그림 (사신도)
  제2절. 부주제그림

제2장.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류형과 변천
  제1절.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류형
  제2절.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변천

제3장.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우수성과 문학사적의의
  제1절. 고구려사신도무덤벽화의 우수성
  제2절. 고구려의 사신도무덤벽화가 이웃나라들과 후세에 준 영향

우리 나라 구석기시대의 석기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 5

제1장. 속돌석기제작방법
제1절. 속돌석기의 종류와 형태
  1. 찍개
  2. 주먹도끼
  3. 자르개
제2절. 속돌석기에 적용된 제작방법
  1. 속돌석기의 떼기법
  2. 속돌석기의 가공법

제2장. 쪼각석기제작방법
제1절. 대형쪼각석기의 형태상 특징과 제작방법
  1. 대형쪼각석기의 종휴와 형태
  2. 대형쪼각석기의 제작방법
제2절. 격지석기의 형태상특징과 제작방법
  1. 격지석기의 종류와 형태
  2. 격지석기의 제작방법
제3절. 돌날석기의 형태상특징과 제작방법
  1. 돌날석기의 종류와 형태
  2. 돌날석기의 제작방법

제3장. 석기제작방법의 개선 


장수산성에 관한 연구 --- 118

제1장. 장수산성의 구조형식과 성안의 유적유물
제1절. 장수산성의 구조형식
  1. 장수산성의 지리적위치와 지형
  2. 장수산성의 구조형식
제2절. 성안의 유적
  1. 건물터
  2. 쇠부리터
제3절. 유물
  1. 기와
  2. 벽돌

제2장. 장수산성의 축조년대
제1절. 편년기준
제2절. 성밖의 도시유적과 무덤의 년대
  1. 도시유적의 년대
  2. 무덤의 년대
제3절. 성안에서 나온 기와의 년대와 장수산성의 축조년대

제3장. 장수산성의 성격
제1절. 장수산성의 특징
제2절. 장수산성과 주변유적들과의 관계
  1. 부근의 도시유적과의 관계
  2. 안악지방 벽화무덤과의 관계
  3. 주변 산성과의 관계
제3절. 장수산성은 4세기 고구려의 남평양성


일본동탁의 조선적성격에 대한 연구 --- 263

제1장. 일본렬도에서 알려진 동탁
제1절. 규슈 및 이즈모지방의 동탁
  1. 규슈지방의 동탁
  2. 이즈모지방의 동탁
제2절. 깅끼지방과 그밖의 지역의 동탁
  1. 깅끼지방에서 알려진 동탁
  2. 그밖의 지역들에서 발굴된 동탁

제2장. 일본동탁의 류형과 변천
제1절. 일본동탁의 류형
제2절. 일본동탁의 변천

제3장. 일본동탁에 반영된 조선적성격
 

황해남북도지방의 중세성방어체계 --- 5

제1장. 황해남북도지방의 중세 성유적
제1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성분포
제2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성종류
제3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성건축과정

제2장. 황해남북도지방의 중세 성방어체계
제1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종심성방어체계
  1. 종심성방어체계의 구성
  2. 종심성방어체계의 형성
제2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지역성방어체계
  1. 지역성방어체계의 구성
  2. 지역성방어체계의 형성
제3절. 황해남북도지방의 해안성방어체계
  1. 해안성방어체계의 구성
  2. 해안성방어체계의 형성

제3장. 황해남북도지방의 중세성방어체계의 역할
제1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성방어체계가 고구려시기에 논 역할
제2절. 황해남북도지방 성방어체계가 고려시기에 논 역할
제3절. 황해남북도지방의 성방어체계가 조선봉건왕조시기에 논 역할


마산리유적의 신석기시대문화 갖춤새에 대한 연구 --- 127

제1장. 문화갖춤새
제1절. 유적의 개관
제2절. 집자리짜임새
제3절. 유물갖춤새
  1. 질그릇갖춤새
  2. 로동도구갖춤새
  3. 기타 유물

제2장. 문화갖춤새의 상대년대

제3장. 문화갖춤새를 통하여 본 평양지방신석기시대문화의 문화사적지위
제1절. 문화갖춤새에 반영된 문화의 발전모습
제2절. 문화갖춤새를 통하여 본 평양지방 신석기시대문화의 문화사적지위


조선중남부지역의 좁은놋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 254

제1장. 조선중남부지역 좁은놋단검관계 유적유물의 류형과 시기구분
제1절. 무덤
  1. 돌무덤
  2. 움무덤
  3. 독무덤
제2절. 껴묻거리
  1. 청동제품
  2. 철제품
  3. 석기와 질그릇류
제3절. 중남부조선 좁은놋단검문화의 시기구분
  1. 청동무기류 및 청동거울의 형식별선후관계
  2. 중남부조선 좁은놋단검문화의 시기구분

제2장. 조선중남부지역 좁은놋단검문화의 형성발전과 고조선문화와의 관계
제1절. 중남부조선에서 좁은놋단검문화의 형성과 고조선문화와의 관계
제2절. 중남부조선에서 중기좁은놋단검문화의 발전과 고조선문화와의 관계
제3절. 중남부조선 후기좁은놋단검문화의 발전과 고조선문화와의 관계

제3장. 조선중남부지역 좁은놋단검문화의 분포상태와 그 력사적배경
제1절. 중남부조선 좁은놋단검문화의 분포상태
  1. 한강류역의 좁은놋단검문화
  2. 금강류역의 좁은놋단검문화
  3. 영산강류역의 좁은놋단검문화
  4. 락동강상류류역의 좁은놋단검문화
  5. 락동강하류류역의 좁은놋단검문화
  6. 강원도 남부지역의 좁은놋단검문화
제2절. 중남부조선에서 좁은놋단검문화의 력사적배경

제4장. 조선중남부지역 좁은놋단검문화의 문화사적위치
제1절. 중남부조선 좁은놋단검문화의 특성
제2절. 중남부조선 좁은놋단검문화가 일본야요이문화에 준 영향

남연해주지역의 원시유적에 대한 연구 --- 4

제1장. 구석기시대유적과 그 성격
제1절. 오씨노브까유적과 유물
  1. 유적의 지층과 문화층
  2. 유물
제2절. 지리학회동굴유적과 유물
  1. 유적의 지층과 문화층
  2. 유물
제3절. 기타 유적들과 유물
제4절. 유물갖춤새의 특징
제5절. 구석기시대유적의 성격

제2장. 중석기시대유적과 그 성격
제1절. 우쓰찌노브까유적과 유물
  1. 유적의 지층과 문화층
  2. 유물
제2절. 라즈돌리노예유적과 유물
제3절. 기타 유적과 유물
제4절. 문화갖춤새의 특징
제5절. 중석기시대유적의 성격

제3장. 신석기시대유적과 그 성격
제1절.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의 유적과 유물
  1. 올레니1유적과 유물
  2. 끼롭스크유적과 유물
  3. 기타 유적과 유물
  4. 문화갖춤새의 특징
제2절. 신석기시대 늦은 시기의 유적과 유물
  1. 자이싸노브까1유적과 유물
  2. 기타 유적과 유물
  3. 문화갖춤새의 특징
제3절. 신석기시대유적의 성격
  1. 북연해주지역 신석기시대문화와 구별되는 특징
  2. 동북조선일대 신석기시대 문화와의 공통성


수산리고구려벽화무덤에 관한 연구 --- 154

제1장. 고구려벽화무덤의 편년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와 
       수산리벽화 무덤의 년대
제1절. 고구려벽화무덤의 편년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제2절. 수산리벽화무덤의 년대
  (1) 무덤벽화를 통하여 본 년대
  (2) 무덤의 구조형식을 통하여 본 년대

제2장. 수산리벽화무덤의 특성과 그 사회력사적배경
제1절. 수산리벽화무덤의 특성
제2절. 수산리벽화무덤이 나오게 된 사회력사적배경
제3절. 수산리벽화무덤주인공의 신분

제3장. 수산리벽화무덤의 문화사적의의
제1절. 수산리벽화무덤의 벽화가 조선화발전에서 차지하는 위치
제2절. 수산리벽화무덤과 다까마쯔즈까 벽화무덤
 

머리말 --- 7

1. 인류력사는 언제 시작되였는가 --- 9
1) 원숭이가 사람으로 되던 시기의 자연환경
  (1) 지구상에 얼음바다를 펼쳐놓은 빙하
  (2) 얼음산이 흘렀다는 증거-《길을 잃은 바위돌》들
  (3) 빙하는 왜 생겨났는가
  (4) 완전히 자취를 감춘 털코끼리와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수삼나무, 은행나무
  (5) 빙하시기에 우리 강토로 얼음속에 잠겼던가
2) 인류의 탄생을 200만년전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화석
  (1) 세상사람들의 주의를 집중시킨 올두바이유적
  (2) 아버지를 죽음에로 이끈 인류화석의 발견
  (3) 능란한 정치적수완에 의해 나라의 국보로 된《능인》
3) 사람이 처음으로 생겨난 인류의 발상지는 어데인가
  (1) 인류의 발상지는 아시아대륙인가, 아프리카대륙인가
  (2)《학술적인 문제인가 하였더니 정치적문제로군.》
4) 국제적인 론쟁거리-《사람과 동물과의 개선문제》

2. 인류사회가 형성되기 이전에 --- 45
  1) 사람이 원숭이에서 생겨났다는 진화론이 나오기까지
  2) 사람의 행위가 아닐가 착각할 정도로 발달된 고등신경활동
  3) 로동을 방불케 한 령장류의《도구활동》
  4) 지금의 령장류들도 사람으로 진화할수 있을가

3. 인류발생의 첫 고고성은 우리 강토를 비롯한 아시아에서도 --- 57
  1) 인류력사의 동틀무렵-우리 나라 구석기시대
    (1) 일제놈들이 묵살해버린 우리 나라의 첫 구석기시대유적
    (2) 마침내 찾아낸 우리 나라의 구석기시대유적
    (3) 우리 강토에서 인간생활의 첫 자취를 남긴 검은모루유적  
  2) 처음으로 발굴된 원인화석-《쟈와원인》
    (1) 진화론의 추동을 받아
    (2) 이 확석이 과연 원숭이가 사람으로 이행하는데서《빠진 고리》, 
        그《중간고리》인가  
    (3) 인생은 시작도 중요하지만 마감을 잘 장식해야
        빛이 난다는 교훈
  3) 진통을 겪지 않고 발견된《베이징원인》
    (1) 수십만년만에 드디여 햇빛을 보고 후대들을 만나게 된《베이징원인》
    (2) 어떻게 생겼기에 사람이라는 의심을 조금도 받지 않았을가
    (3) 베이징원인화석 실종의 수수께끼
  4) 무엇을 두고 사회생활을 시작햇다고 하는가
    (1) 가장 이른 시기의 문화를 찾으려고 초행길을 걸은 사람
    (2) 사회생활을 시작한 첫 집단
    (3) 어떻게 큰짐승들도 사냥할수 있었을가

4. 남달리 뛰여난 고인단계의 우리 선조 --- 103
  1) 우연히 발견된 고인단계의 첫 화석
  2)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고인단게의 인류화석
    (1) 화산용암속에 완전히 매몰된《화대사람》
    (2) 일곱살 난 소년《력포사람》
    (3) 이발로 자기의 존재를 후세에 알린《덕천사람》
  3) 류달리 지혜로운 우리 선조들의 사냥솜씨
    (1) 새로운 일감을 찾은 녀성들
    (2) 세계에 하나밖에 없는 몰이사냥터유적
    (3) 유물로 남지 않는 당시의 사회경제적관계를 돌이켜볼수는 없을가
    (4)《인류의 10대발견》의 하나-불의 발견, 인공발화법의 탐구
  4) 사회의 발전면모는 집단생활의 이모저모에서도
    (1) 세계적으로 가장 일찌기 꽃을 사랑한 우리 선조들
    (2) 무엇이 사회를 통제하는《규범》으로 되였을가
    (3) 일할수 없는 불구자까지 돌보아준《미풍》
    (4) 무덤의 출현, 그것은 주검에 대한 관심과 공포의 결과
    (5) 원시종교도 3가지

5. 일찌기 력사무대에 등장한 신인단계의 우리 선조 --- 156
  1) 우리 나라에서도 신인단계사람들이 생겨났을가, 흘러들어왔을가
  2) 우리 나라에서 발굴된 신인단계의 인류화석
    (1) 현대사람과 같은 모습을 가진 신인
    (2) 조선사람의 시원으로 된《만달사람》
    (3) 바위에 깔려있던《룡곡사람》
    (4) 이밖의 신인단계의 인류화석
  3) 아메리카대륙과 오세안주에로의 사람의 첫 이주가 언제 시작되었는가
  4) 완성된 뇌수의 사유기능이 무슨 일을 할수 있었던가
  5) 이쯤 되어야 인간의 로동도구라고 할수 있지
    (1) 일거리에 맞게 분화된 로동도구
    (2) 면도날 못지 않게 예리한 잔돌날
    (3) 새로운 류형의 사냥도구 출현
    (4) 뼈와 뿔로도 로동도구를
  6) 처음으로 사회조직이 출현한 인류사회
    (1) 털코끼리를 멸족시킨《탐욕스러운》사냥
    (2) 옷의 출현, 이것도《인류의 10대발견》의 하나
    (3) 사람들사이의 뉴대를 강화하려고 진행한《례물교환》
    (4) 최초의《정치적지배권》은 녀성들이 행사
  7) 구석기시대에도《문예부흥기》가 있었는가
    (1) 인류가 처음으로 창조한 원시예술
    (2) 처음으로 발견된 미술작품, 그것이《조작품》은 아니였던가
    (3) 너무도 희한한탓에 오래동안 의혹속에 잠겨있던 동굴벽화
    (4) 사실은 숨길수 없고 진리는 밝혀지기마련


세계일화

○ 찰스 다윈과 갈라빠고스섬
○ 회중시계를 삶은 건망증
○ 근 반세기동안이나 과학을 희롱해온《필드다운》의 수수께끼
○ 노예사회의 순장제
○ 원숭이의 놀음에서 창상된 벤졸화합물의 구조식
○ 지혜의 소유자


토막상식

○ 두발걸음을 시작한 첫 원숭이
○ 아메리카원주민가운데 조선족이민의 후예가 있다는 이야기

고구려석각천문도 <<천상렬차분야지도>>의 복원을 위한 연구 --- ( 1 )

제1장. <<천상렬차분야지도>>에 대한 선행연구정형과 문제설정
제1절. <<천상렬차분야지도>>에 대하여
제2절. <<천상렬차분야지도>>에 대한 선행연구정형
제3절. 선행연구의 부족점과 문제설정

제2장. 고루려석각천문도의 복원
제1절. 1395년도 <<천상렬차분야지도>>의 동정
제2절. 고구려석각천문도의 관측년대와 석각년대의 추정
제3절. 고구려천문도의 북극에 대하여
제4절. 고구려천문도의 복원

제3장. 고구려석각천문도으 우수성과 력대천문도들과의 관계
제1절. 고루려석각천문도의 우수성
제2절. 고구려에서 천문학의 발전
제3절. 고구려석각천문도와 력대천문도들과의 관계


남양리유적발굴보고 --- ( 114 )

제1장. 유적의 위치와 발굴경위

제2장. 집자리발굴
제1절. 집자리발굴정형과 지층관계
제2절. 새김무늬그릇시기의 집자리와 유물
제3절. 팽이그릇시기의 잡자리와 유물

제3장. 무덤발굴
제1절. 고인돌무덤
제2절. 돌칸흙무덤
제3절. 돌곽무덤

제4장.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와 유물에 반영된 문화의 성격
 

조선중세건축유적연구
(발해, 후기신라, 고려편)
 --- ( 5 )

제1장. 발해의 건축유적 --- ( 6 )
제1절. 살림집유적
   1. 살림집유적의 평면구조
   2. 온돌시설
   3. 발해살림집의 복원
제2절. 도시유적
   1. 수도의 도시유적
   2. 지방의 도시유적
제3절. 궁전유적
   1. 오동성의 궁전유적
   2. 서고성의 궁전유적
   3. 상경룡천부의 궁전유적
   4. 발해궁전의 건축구성
제4절. 절간유적
   1. 절간유적의 평면과 그 복원
   2. 탑과 돌등
제5절. 발해건축의 구조구성과 특성
   1. 발해건축의 구조구성
   2. 발해건축의 특성

제2장. 후기신라의 건축유적 --- ( 101 )
제1절. 도시유적
   1. 수도유적
   2. 지방도시유적
제2절. 궁전유적
제3절. 절간유적
   1. 가람배치
   2. 건축구성
   3. 탑의 변천과 건축구성

제3장. 발해, 후기신라건축의 계승관계와 공통성 --- ( 148 )
제1절. 발해 ㅡ 후기신라시기 건축의 계승관계
제2절. 발해건축과 후기신라 건축의 공통성

제4장. 고구려의 건축유적 --- ( 166 )
제1절. 살림집유적
제2절. 도시유적
   1. 개경
   2. 서경(평양)성
   3. 남경 및 동경
제3절. 궁전유적
   1. 만월대궁전유적
   2. 궁전의 건축구성
   3. 궁전건축의 특징과 계승관계
제4절. 절간유적 및 불교석조물
   1. 절간유적
   2. 절간건물배치와 건축구성
   3. 석조구조물


3세기 야마대국의 력사적고찰 --- ( 247 )

제1장. 야마대국의 조선적성격 --- ( 250 )
제1절. 문헌자료를 통해 본 야마대국의 조선적성격
제2절. 고고학적료를 통해 본 야마대국의 조선적성격

제2장. 야마대국의 위치 --- ( 271 )
제1절. 야마대국의 위치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1. <<삼국지>>왜인전의 리수와 방위
   2. <<륙로설>>과 <<수로설>>
제2절. 야마대국 <<규슈설>>
   1. 왜인전에 기록된 7개국들의 위치
   2. 야마대국 <<규슈설>>에 대하여
제3절. 야마대국 <<야마또설>>

제3장. 야마대국과 관련된 각종 반동적 견해에 대한 력사적고찰 --- ( 322 )
제1절. 야마대국<<동천>>설 비판
제2절. 비미호와 <<신공항후>>의 <<동일성>>비판
제3절. 비미호에 대한 력사적평가


맺는말 --- ( 356 )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에 관한 연구 --- ( 5 )

제1장.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으 종류와 형태 --- ( 7 )
제1절. 살상무기의 종류와 형태
   1. 먼거리사격무기
   2. 육박격투무기
제2절. 방어무장의 종류와 형태

제2장.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의 연원과 변천 --- ( 39 )
제1절.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의 연원
제2절.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의 변천

제3장. 락랑유적에서 알려진 무기무장의 시기별구성상태 --- ( 59 )
제1절. 무덤구조형식을 통하여 본 락랑유적무기무장의 시기구분
제2절. 고조선 말기, 락랑국시기 무기무장의 구성상태
   1. 고조선 말기 무기무장의 구성상태
   2. 락랑국시기 무기무장의 구성상태

제4장. 무기무장을 통하여 본 고조선 말기, 락랑국시기의 병종구성과 전투력 --- ( 101 )
제1절. 고조선 말기, 락랑국시기의 병종구성
제2절. 고조선 말기, 락랑국시기의 전투력


집안일대 고구려무덤에 대한 연구 --- ( 132 )

제1장. 집안일대 고구려무덤의 분포와 그 특징 --- ( 134 )
제1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의 분포
   1. 우산밑무덤떼
   2. 산성밑무덤떼
   3. 만보정무덤떼
   4. 칠성산무덤떼
   5. 마선구무덤떼
   6. 하해방무덤떼
   7. 문악동무덤떼
   8. 장천무덤떼
   9. 분토골무덤떼
   10. 미타리무덤떼
   11. 시중군 로남리 및 심귀리일대의 고구려무덤떼
제2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의 분포상특징

제2장. 집안일대 고구려무덤의 류형과 년대 --- ( 172 )
제1절. 돌각담무덤의 류형과 년대
   1. 무기단돌곽무덤
   2. 기단돌곽무덤
   3. 계단돌곽무덤
   4. 계단돌칸무덤
   5. 돌칸돌무덤
제2절. 돌칸흙무덤의 류형과 년대

제3장.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의 형성과 구성변화 --- ( 222 )
제1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의 형성
제2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의 구성변화

제4장.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에 반영된 고구려귀족집단들의 변화 --- ( 246 )
제1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와 고구려5부
제2절. 집안일대 고구려무덤떼를 통하여 본 고구려 부귀족집단들의 변화

고조선유적발굴보고 --- ( 4 )

1. 상원군 룡곡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5 )
    1) 고인돌무덤의 구조형식
    2) 유물

2. 상원군 장리, 중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23 )
    1) 장리고인돌무덤
    2) 중리고인돌무덤

3. 상원군 번동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41 )

4. 연탄군 신금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78 )

5. 성천군 백원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83 )

6. 순천시 오봉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 --- ( 97 )

7. 풍서군 신덕리고인돌무덤 조사보고 --- ( 100 )


표대유적 신석기시대 문화갖춤새에 관한 연구 --- ( 105 )

제1장. 신석기시대유적의 발굴정형과 층서관계 --- ( 108 )
   제1절. 신석기시대유적의 발굴정형
   제2절. 신석기시대집자리와 시설물의 층서관계

제2장. 집자리와 시설물 및 유물 --- ( 125 )
   제1절. 집자리와 유물
   제2절. 시설물과 유물

제3장. 표대유적을 통하여 본 평양지방신석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력사적지위 --- ( 208 )
   제1절. 표대유적을 통하여 본 평양지방신석기시대 문화의 편년
   제2절. 표대유적을 통하여 본 평양지방신석기시대 문화의 문화사적지위

삽도 --- ( 251 )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 문화의 성격 --- ( 262 )

제1장.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 유적 --- ( 263 )
   제1절. 동료하, 이통하류역의 유적
   제2절. 송화강류역의 유적

제2장. 유적들의 편년과 문화의 발전 --- ( 328 )
   제1절. 유적들의 선후관계와 년대
   제2절.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문화의 발전

제3장.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문화의 성격 --- ( 346 )
   제1절.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문화의 연원
   제2절. 기원전후한 시기 길장지구문화의 성격

맹하리, 세죽리일대 갈색민그릇시기 집자리유적에 관한 연구....5

제 1장. 유적의 분포와 집자리 및 유물....6
제1절. 유적의 분포상태
제2절. 집자리와 유물

제 2장. 집자리짜임새와 유물 갖춤새의 변천....50
제1절. 집자리와 유물의 선후관계
제2절. 집자리짜임새와 유물갖춤새의 변천

제 3장. 유적유물에 반영된 문화의 성격....91

궁산문화의 질그릇재료와 소성 온도에 대한 연구....130

제 1장. 질그릇재료와 소성온도에 대한 일반적리해와 질그릇 시료의 선정....131
제1절. 질그릇재료와 소성온도에 대한 일반적리해
제2절. 질그릇시료의 선정

제 2장. 궁산문화 질그릇의 재료와 소성온도....151
제1절. 질그릇시료의 분석원리 및 방법
제2절. 궁산문화 질그릇의 재료와 소성온도

제 3장. 질그릇재료와 소성온도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본 질그릇 제작기술의 발전양상
제1절. 질그릇재료와 소성온도의 변천과정
제2절. 질그릇재료와 소성온도에 반영된 질그릇제작기술의 발전양상

압록강, 장자강류역 고구려유적발굴보고....234
1. 심귀리집자리....235
1) 충위관계와 집자리
2) 유물

2. 심귀리무덤떼....258
1. 무덤떼의 자리잡음
2. 돌각담무덤
3. 돌칸흙무덤

3. 로남리의 집자리와 쇠부리터....287
1. 로남리 남파동집자리의 발굴과 충위관계
2. 아래문화층
3. 웃문화층
4. 간평유적과 버드내유적

4. 로남리무덤떼....331
1. 로남리 남파동무덤떼
2. 내평과 간평의 무덤떼

5. 풍청리와 연상리의 무덤떼....366
1. 풍청리무덤떼
2. 풍청리 하천장무덤떼
3. 연상리무덤떼

6. 토성리유적....383
1. 발굴과 층위관계
2. 집자리와 시설물 및 유물

18~19세기 《농민생활도》(경직도)에 반영된 생활풍습연구....5

제 1장. 《농민생활도》(경직도)에 대한 력사적고찰....7

제 2장. 《농민생활도》(경직도)에 반영된 로동생활풍습....22
제1절. 농상풍습
1. 논밭갈이
2. 모내기와 김매기
3. 마당질
4. 낟알찧기
5. 농사일때의 공동로동과 공동식사풍습
6. 집수리와 농쟁기수리
제2절. 가내수공업로동풍습
1. 천낳이
2. 초물제품만들기
제3절. 강하천물고기잡이와 짐승사냥풍습
1. 강하천물고기잡이
2. 짐승사냥

제 3장. 《농민생활도》(경직도)에 반영된 민속명절과 놀이....86
제1절. 정월대보름명절의 《화적》과 달맞이
1. 작은보름의 《화적》만들기
2. 정월대보름의 달맞이
제2절. 산놀이와 어린이비사치기놀이
1. 산놀이
2. 어린이비사치기놀이

제 4장. 《농민생활도》(경직도)에 반영된 옷차림풍습....98
제1절. 일상때와 일할 때의 옷차림
제2절. 명절때의 옷차림

제5장. 18~19세기 《농민생활도》(경직도)의 민속사료적가치....105

백제기와막새에 관한 연구....127

제 1장. 기와막새가 나온 백제유적관 기와막새무늬의 류형....129
제1절. 기와막새가 나온 백제유적
제2절. 백제기와막새무늬의 류형
1. 암기와막새의 무늬
2. 수기와막새의 무늬

제 2장. 막새무늬를 통하여 본 백제기와막새의 제작년대와 변천....192
제1절. 막새무늬를 통하여 본 백제기와막새의 제작년대
제2절. 백제기와막새의 변천

제 3장. 백제기와막새의 문화사적지위....225
제1절. 백제수기와 막새무늬의 특징
제2절. 기와막새를 통하여 본 백제문화와 이웃 나라 문화들사이의 호상관계
1. 고구려기와막새와의 호상관계
2. 전기신라막새와의 호상관계
3. 일본기와막새와의 호상관계
4. 백제기와막새와 중국 남조나라 기와막새들과의 호상관계

대동강류역 일부 구석기시대 동굴유적과 화석산지의 포유동물상에 대한 연구....268

제 1장. 상원검은모루유적의 동물상....270
제1절. 상원검은모루유적에 대한 선행연구정형
제2절. 선행연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제3절. 검은모루유적의 동물상을 통하여 본 지질학적상대년대

제 2장. 승호3호동굴화석산지의 동물상....295
제1절. 선행연구정형과 제기되는 문제점
제2절. 화석산지에서 알려진 동물상
1) 아래화석층
2) 가운데 화석층
3) 웃화석층
제3절. 화석산지의 동물상을 통하여 본 지질학적상대년대

제 3장. 대현동유적의 동물상....356
제1절. 대현동유적에 대한 선행연구정형
제2절. 선행연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제3절. 대현동유적의 지질학적상대년대

제4장. 대동강류역에서 제4기 화석동물상의 시대적변천....383

고구려무덤의 외부시설에 관한 연구....3

제 1장. 고구려무덤의 외부시설....4
제1절. 고구려무덤의 무덤무지보호시설
제2절. 고구려무덤의 무덤무지주변시설
제 2장. 고구려무덤외부시설의 년대와 변천....61
제1절. 고구려무덤외부시설들의 년대
제2절. 고구려무덤외부시설의 변천
제 3장. 고구려무덤외부시설들의 문화사적지위....112
제1절. 고구려의 강대성과 높은 문화발전수준을 보여주는 무덤외부시설
제2절. 고구려무덤외부시설이 중세초기 우리 민족국가들의 무덤외부시설에 준 영향
제3절. 고구려무덤외부시설이 당시 주변나라들의 무덤외부시설에 준 영향

남부조선지역의 신석기시대문화에대한 연구....148

제 1장. 남부조선지역 신선기시대유적의 분포....149
제1절. 남부조선지역 신석기시대유적의 분포
제2절. 남부조선지역 신석기시대유적의 편년
제 2장. 남부조선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유물....173
제1절. 한강류역일대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유물갖춤새
제2절. 동해안일대의 신석기시대집자리와 유물갖춤새
제3절. 남해안일대의 신석기시대집자리와 유물갖춤새
제 3장. 남부조선지역 신석기시대문화의 성격....217
제1절. 대동강류역 신석기시대문화와의 공통성
제2절. 부르죠아어용사가들의 견해의 부당성

머리말....4

상원 검은모루 구석기시대유적 발굴보고....5
1. 검은모루유적의 자연환경과 퇴적층
2. 통물화석의 감정 및 분류

청청암 및 해상동굴유적 발굴보고....66
1. 상원군 청청암동굴 동물상
2. 평상군 해상동굴 동물상

룡연리유적 발굴보고....96
1. 발굴지점의 지형과 발굴정형
2. 집자리
3. 유물

오덕리고인돌무덤 발굴보고....115
1. 유적의 위치
2. 평촌 고인돌무덤떼
3. 석장골고인돌무덤떼
4. 송신동고인돌무덤떼
5. 돌돌림유적
6. 집자리

북창군 대평리유적 발굴보고....182

최군에 새로 아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관계의 유적유물....244
1. 연안군 부흥리 금곡동에서 나온 유물
2. 평양시 형제산구역 서포동에서 나온 비파형단검
3. 재령군 고산리 성황동에서 나온 유물
4. 신천군 청산리에서 나온 좁은놋단검
5. 배천군 석산리에서 나온 유물
6. 그밖의 유물

함경남도일대의 고댁유적 조사보고....257
1. 리화동무덤
2. 하세리 움무덤
3. 룡산리 움무덤
4. 소라리유적
5. 동흥산에서 나온 유물
6. 호상동에서 나온 유물
7. 대성리에서 나온 유물
8. 련동리에서 나온 유적들
9. 송해리에서 나온 유물
10. 운포리유적

부조예군무덤 발굴보고....288
1. 무덤의 째임새
2. 껴묻거리들이 놓인 상태
3. 껴묻거리

로성동 제4호무덤 발굴보고서....304
1. 무덤의 위치와 발굴경위
2. 무덤의 째임새
3. 껴묻거리들이 놓인 상태
4. 유물

운성리유적 발굴보고....317
1. 유적의 위치 및 발굴경과 
2. 무덤발굴
3. 토성발굴

수산리 고구려벽화무덤 발굴중간보고....358
1. 무덤의 위치와 발굴경위
2. 무덤의 째임새
3. 벽화내용
4. 무덤의 째임새와 벽화의 특징

머리말...3

제1장.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문화의 분포...6
제1절.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문화의 분포상태
제2절. 동북아시아 여러 지역 신석기시대문화들의 분포상태

제2장. 조선 신석기시대문화의 시기구분과 문화갖춤새...55
제1절. 시기구분
제2절. 시기별문화갖춤새

제3장. 동북아시아 여러 지역 신석기시대문화들의 시기구분과 문화갖춤새...129
제1절. 중국 북방계문화
제2절. 로씨야 원동남부지역 신석기시대문화
제3절. 일본 죠몽문화

제4장. 동북아시아에서 조선의 신석기시대문화가 차지하는 문화사적지위...215
제1절. 조선의 신석기시대문화의 고유성
제2절. 조선의 신석기시대문화가 주변지역 신석기시대문화발전에 준 영향

대동강류역에서 원시사회말기 사회관계의 변화 / 5
제1장. 문화의 발전 / 7
 제1절. 집짜임새의 개선과 무덤현식의 변천
 제2절. 유물갖춤새의 변천

제2장. 생산의 발전 / 78
 제1절. 생업의 발전
 제2절. 수공업의 발전

제3장. 사회관계의 변화와 원시제도의 붕괴 / 117
 제1절. 부계씨족공동체의 형성
 제2절. 원시사회제도의 붕괴

조선중세건축유적연구(삼국편) / 193
제1장. 고구려의 건축유적 / 196
 제1절. 살림집유적
 제2절. 도시유적
 제3절. 궁전유적
 제4절. 절간유적
 제5절. 고구려건축의 구조구성과 특성

제2장. 백제의 건축유적
 제1절. 도시유적
 제2절. 궁전유적
 제3절. 절간유적

제3장. 신라의 건축유적 / 396
 제1절. 도시유적
 제2절. 궁전유적
 제3절. 절간유적

제4장. 삼국시기 건축의 원류 / 432
 제1절. 고구려건축과 백제, 신라건축의 관계
 제2절. 고구려건축과 초기일본건축의 관계

머리말 / 5

1. 고대문명이 밝아오기까지 / 7
1) 우리는 알고 있는가
2) 고난에 찬 초행길
3) 문명의 기슭을 향하여
4) 문명의 려명이 밝아온다

2. 문명의 첫 기슭에서 / 130

머리말 / 4

제1장. 고구려질그릇의 분류 / 7

제1절. 생활용질그릇
제2절. 껴묻거리용질그릇

제2장. 고구려질그릇의 력사적지위 / 223
제1절. 고구려질그릇과 고대질그릇과의 호상관계
제2절. 백제, 신라질그릇과의 호상관계
제3절. 고구려이후 나라들의 질그릇과의 호상관계

고국원왕릉 / 4
제1장. 고국원왕릉의 구조형식과 벽화
제2장. 고국원왕릉의 성격
제3장. 무덤의 주인공문제에 대한 고찰
제4장. 고국원왕릉에 반영된 건축술과 회화술
제5장. 고국원왕릉벽화에 반영된 고구려의 생활풍습과 군사력

고려종에 대한 연구 / 154
제1장. 고려종에 대한 일반적리해
제2장. 고려종의 분류
제3장. 고려종의 년대와 변천
제4장. 고려종의 문화사적지위

부록
고려종일람표
사진

머리말 / 3

1. 우리 나라 동해안일대의 발해무덤 / 6

2. 중국동북지방의 발해무덤 / 140

3. 로씨야 연해주일대의 발해무덤 / 272

맺는말 / 277

조선사람 《북방기원설》의 부당성 / 3
제1장. 조선사람의 《북방기원설》을 제창한 종래의 견해
제2장. 조선사람이 고아시아족에서 기원하였다는 《경해》의 부당성
제3장. 조선사람이 퉁구스족에서 기원하였다는 《견해》의 부당성
제4장. 《주민2단계교체설》은 조선사람의 본토기원설을 부정하는 반동적리론
조선사람은 우리 조국강토에서 형성된 단일민족

우리 나라 중세도자기 연구 / 120
제1장. 도자기의 시원
제2장. 고려자기
제3장. 조선봉건왕조자기

차 례 

머리말 = 3

제1편. 유적발굴보고 = 5

   제1장. 유적의 개관 = 5
     제1절. 유적의 자연지리적환경 = 5
     제2절. 유적의 발굴정형과 지층관계 = 10

   제2장. 새김무늬그릇시기의 유적과 유물 = 16
     제1절. 집자리와 유물 = 16
     제2절. 질그릇가마터와 유물 = 40

   제3장. 팽이그릇시기의 집자리와 유물 = 43
     제1절. 집자리들의 층서관계 = 44
     제2절. 시기별 집자리와 유물 = 48

   제4장. 그밖의 유적과 유물 = 144
     제1절. 무덤과 유물 = 145
     제2절. 기와가마터와 유물 = 155

제2편. 발굴된 유적유물에 대한 분석연구 = 158

   제1장. 새김무늬그릇시기의 문화갖춤새 = 158
     제1절. 새김무늬그릇시기 문화갖춤새의 편년 = 159
     제2절. 문화갖춤새를 통하여 본 평양일대 신석기시대 문화의 발전상 = 168

   제2장. 팽이그릇시기의 문화갖춤새와 중세기와가마터에 대하여 = 193
     제1절. 팽이그릇시기의 문화갖춤새 = 193
     제2절. 중세기와가마터에 대하여 = 243

맺는말 = 248

머리말 = 4

제1장. 조선의 화석인류 = 6

   제1절. 원인단계사람들의 생활자취가 깃든 검은모루유적 = 7

   제2절. 고인단계화석인류 = 13
     1. 화대사람 = 13
     2. 력포사람 = 21
     3. 덕천사람 = 36

   제3절. 신인단계화석인류 = 46
     1. 승리산사람 = 46
     2. 룡곡사람 = 56
     3. 금천사람 = 92
     4. 중리사람 = 102
     5. 랭정사람 = 104
     6. 만달사람 = 107
     7. 대흥사람 = 120
     8. 황주사람 = 130

   제4절. 우리 강토에서 이루어진 화석인류의 진화상특성 = 138

제2장. 조선옛류형사람은 독자적인 시초류형의 하나 = 160

   제1절. 신석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 = 161
     1. 신석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의 인류학적특징 = 161
     2. 신석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은 동부아시아시초류형의 하나 = 182

   제2절. 청동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 = 217
     1. 청동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의 인류학적특징 = 217
     2. 청동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은 같은 시대 동부아시아시초류형의 하나 = 228

제3장. 우리 강토에서 형성된 조선사람의 력사적뿌리, 그 혈통의 계승발전 = 254

   제1절. 우리 강토의 신인들은 신석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의 직계선조 = 255

   제2절. 원시시대 조선옛류형사람들의 계승관계 = 265

   제3절. 현대조선사람은 청동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의 후예 = 275
     1. 현대조선사람의 인류학적특징 = 275
     2. 청동기시대 조선옛류형사람과 현대조선사람사이의 유전학적 계승관계 = 293
     3. 머리뼈의 형태변화를 통하여 본 조선사람의 본토기원문제 = 326